2025. 2. 2. 20:30ㆍ경제/미국 주식
중국 딥시크(Deepseek)가 저비용 고효율 인공지능(AI) 모델 'R1'을 내놓으면서 도전에 직면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(CEO)가 오픈소스 전략 전환 가능성을 내비쳤다.
오픈AI는 초기엔 비영리 연구소로 출발해 오픈소스 전략을 펼쳤지만, 갈수록 폐쇄적인 독점적 사업 모델을 구축했다. 이 때문에 일각으로부터 사명과 실제 운영 방식이 모순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.
샘 올트먼 CEO가 레딧 뭐든지 물어봐(AMA) 게시판에서 오픈소스 정책과 관련 역사의 잘못된 편에 서 있었다고 언급했다.
2일 IT 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올트먼 CEO를 포함한 오픈AI 주요 임원진은 지난달 31일 열린 레딧 '뭐든지 물어봐'(AMA) 행사에서 오픈소스 전략 관련 질의에 "역사의 잘못된 편에 서 있었다"고 언급했다.
올트먼 CEO는 "다른 형태의 오픈소스 전략을 만들어낼 필요가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"면서도 "이를 오픈AI 모든 구성원이 공유한 건 아니다. 또 현재 우리의 최우선 사항도 아니다"고 단서를 달았다.
올트먼 CEO는 딥시크 R1 등이 오픈AI 모델의 우위를 약화할 것이란 점도 인정했다. 그는 "우리는 더 나은 모델을 만들 것이지만 지난 몇 년간 유지해 온 (기술 등의) 우위는 줄어들 것"이라고 말했다.
이날 케빈 웨일 오픈AI 최고제품책임자(CPO)는 "구형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"고 전했다.
딥시크처럼 AI 모델의 추론 과정 공개 여부에는 웨일 CPO는 "지금보다 더 많이 공개할 것"이라며 "이른 시일 내 개선된 기능을 도입할 계획"이라고 설명했다.
딥시크 R1 모델은 기술 패러다임 전환과 오픈소스 영향력 확대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.
모건 브라운 드롭박스 AI 부사장은 "딥시크는 모든 것이 오픈소스라는 게 놀라운 지점"이라며 "코드는 공개돼 있고 기술 논문은 모든 과정을 설명한다. 누구나 그들의 작업을 검증할 수 있다"고 말했다.
WSJ 등 외신은 오픈AI가 오픈소스 방식으로 전환 시 투자금을 모으는 데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. 현재 오픈AI는 400억 달러(약 58조 원) 규모의 투자 유치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.
한편 오픈AI 공동 창업자였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오픈AI가 설립 당시의 '비영리&오픈소스' 사명을 어기고 영리 활동에 매진하고 있다며 지난해 2월 손해배상 등을 미국 법원에 청구했다. 현재 양측은 소송전을 벌이고 있다.
'경제 > 미국 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트럼프의 관세 전쟁이 미치는 영향 (2) | 2025.02.04 |
---|---|
왜 지금 전력 및 자원에 투자해야 하는가? (1) | 2025.02.04 |
딥시크(DeepSeek)로 인해 엔비디아, AI 산업 대 폭락 (2) | 2025.01.28 |
Deep Seek란 무엇일까? (2) | 2025.01.27 |
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AI 투자 발표: 주목할 만한 ETF 4 (1) | 2025.01.23 |